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49건)

후석오준선묘역
광주시 광산구 본동로 158오준선吳駿善(1851~1931)의 본관은 나주(羅州), 자(字)는 덕행(德行), 호(號)는 후석(後石)이다. 현재의 광산구 삼도동 도림에서 출생하였다. 기정진의 대표적인 문인으로, 방대한 분량의 저술인 <후석유고>를 남긴 한말 유학자이다. 특히, 그는 1910년 망국 직후 일제가 지급한 이른바
류인대(유인대)
류인대柳寅大(1895~1976)의 자는 國南, 호는 月湖이며 左相公派 大丞公 33世손이다.서산 자미(西山 自湄)의 후예로 농포 희달(弄圃 希達)의 9대손이요, 용강 년영(龍崗 年永)의 3자인데 출계하여 백부인 소파 석영(小坡 碩永)의 계자(系子)가 되었다.광산군 본량면 동호리에서 태어났는데 풍채가 근엄하고 성
절부광산김씨실행지비
광주시 북구 용두동 1044-1(거상마을 내)1900년 전후이 절부광산김씨실행지비(節婦光山金氏實行之碑)는 젊어서 남편과 사별한 후 유복자를 낳아서 어렵게 살았으나 타인의 모범이 되어 세웠다. 후석 오준선(後石 吳駿善;1851~1931)이 쓰다.
풍천대
광주시 광산구 안청동 안청공원 1920년이 풍천대(風泉臺)는 석음(石陰) 박노술(朴魯述, 1851~ 1917) 선생의 항일의적(抗日義蹟)을 기념하는 삼층석대(三層石臺)이다.석음 선생은 광산구 안청동(安淸洞)에서 태어나 노사(蘆沙) 기정진 선생의 문하에서 학업을 닦은 선비이다.1895년 을미사변때 송사(松沙)선생의 의병활동에
김창환-동몽교관 김창환 유허비
광주시 광산구 신촌동 975-3번지1910년(순종4년)이 김창환유허비(金昌煥遺墟碑)는 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 조봉대부(朝奉大夫)를 지낸 김창환 선생의 비이다. 전통시대에 효행을 실천한 선비의 유허비로 효행정신의 선양과 후대의 추숭활동을 알 수 있어 제도사와 향토사적 의의가 있다.아원표출이창대부(我願表
봉산사 묘정비
서구 용두동 산 79(봉산사)봉산사 묘정비鳳山祠廟庭碑는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1855~1934)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의 건립 취지와 그 사당의 주인, 곧 주벽主壁으로 모시는 인물에 대한 추앙의 문장 등이 적혀 있다. 1976년에 묘정비를 세워 기록을 남겼다.전 성균관장 영가永嘉 권중해權重海가 글을 지었고 덕양德陽 기영
영식재
광주시 서구 전평길 62(매월동)1929년매월동 개산마을에는 흥성 장씨興城張氏의 향제소享祭所이며 효우공孝友公 장창우張昌友(1704~1774)의 제향을 위한 재각이 영식재永式齋이다. 1928년 11월 문중회의에 의해 건축하기로 의결하고 1929년 8월에 건립되었다. 장정섭張整燮 장안섭張安燮 장창섭張昌燮 등이 주도적 역할을 하
만취정2 晩翠亭- 김용희
서구 매월동 (동산부락)만취정(晩翠亭)은 1925년에 김용희(金容希, 1860.5.27~1927.7.21)가 매월동 화개산 기슭에 처소로 지었다. 김용희의 호는 송암(松菴) 또는 만취정이다. 유고가 2권 있다고 족보에 기록되어 있으나 전해지지 않는다. 현와 고광선이 행장을 썼다. 삽봉 김세근 장군의 후손이다.만취정은 『광
야은당
서구 눌재로 420(세하동)야은당野隱堂은 야은野隱 김용훈金容燻(1876~1948)을 기리는 정자이다. 자字는 봉현奉賢, 호號는 야은野隱, 우호又號는 우재愚齋이다. 광주향교의 『광주지』(1968)에는 김용훈을 기리는 서호영당瑞湖影堂이라 불렀다. 지금은 서창한옥문화관과 함께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정자로 활용되고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